애드센스 고시에서 1번의 탈락의 고배를 마신 후, 합격소식만을 기다리며 매일매일 이메일을 확인했었죠.
그렇게 오늘 드디어 합격을 하였습니다!!
첫 번째 애드센스 신청 후 탈락 이메일
5월 2일 신청 거부 통지.
그 때는 지금 생각해도 떨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 4월 초중순쯤 블로그 개설 후 10일 정도 됐을 때 신청했었고 글 자체도 길게 쓴 것도 없었다 보니 양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에 블로그의 질을 따질 수도 없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탈락 후 블로그 탈락 후기와 합격후기들을 많이 찾아보았고, 최소한의 합격 조건으로 많이 쓰여있던,
1. 최소 1500자
2. 맞춤법 검사
을 맞추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500자는 주제에 맞게 쓸 내용이 많으면 많이 쓰도록 노력했지만 아닌 글들도 있었고 맞춤법은 기존 글들 모두 검사 후 수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저는 탈락 이메일을 받은 당일 바로 다시 애드센스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신청을 했습니다. 이때의 블로그의 글은 대략 25개 정도 있는 상태였습니다.
두 번째 애드센스 신청 후 통과 이메일
5월 17일 합격 메일이 날아왔습니다. 블로그 개설 후 한 달 하고 일주일 정도 걸렸습니다.
합격통지 메일을 받은 당시의 블로그 글의 개수는 39개입니다.
메일을 받고 바로 아 광고 설정해봐야겠다! 라며 메일에 있는 「시작하기」버튼을 눌러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들어갔습니다. 처음에 다른 분들의 블로그에 들어가서 글을 한 두 개 읽어봤는데, 1~2년 전 글임에도 벌써 현재의 티스토리에서의 설정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냥 제 느낌대로 눌러보면서 설정해봤습니다.
자동 광고 설정하기
「사이트 기준」탭.
처음 들어갔을 때 보이는 화면입니다.
현재 자동 광고가 「설정 해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것저것 설정하는 것보다 자동으로 해주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요렇게 비슷하게 생긴 ✏️연필 모양 아이콘이 수정인 듯하여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보았습니다.
자동 광고가 off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n을 합니다.
자동 광고를 on을 시켜준 후 화면입니다. 「사이트에 적용」버튼을 눌러줍니다.
현재 제 블로그의 애드핏을 다 꺼 둔 상태로 사이트에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해보니 상단에 광고가 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사이드 바에도 자동으로 광고가 설정이 되네요.
수동 광고 설정하기
내가 원하는 위치에 광고를 넣고 싶을 경우가 있습니다. 자동 광고일 경우는 광고를 더 넣고 싶거나 원하는 위치에 적용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광고 단위 기준」탭.
「디스플레이 광고」를 눌러줍니다.
글의 가독성을 함께 고려해서 「수평형」,「반응형」을 선택하고 광고 단위 이름을 본인이 보기 편한 이름으로 짓고 「만들기」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코드 복사」를 눌러 복사합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그로 돌아옵니다.
저는 위에서 복사한 코드로 서식을 복사해서 서식을 하나 만들어 놓은 상태입니다.
서식을 만드는 방법은 「콘텐츠 > 서식관리」에서 「서식 쓰기」버튼을 눌러줍니다.
「기본모드」에서 「HTML」로 전환시켜줍니다.
<div align="center">
<!-- 이 곳에 코드 생성기에서 복사한 코드를 붙여 넣어 줍니다 -->
</div>
그리고 위의 코드처럼 작성을 한 후, 다시 「기본모드」로 전환시켜줍니다.
「기본모드」로 전환하면 위와 같이 보이게 됩니다. 「완료」버튼을 눌러 저장을 합니다.
수동 광고 서식 적용하기
「글쓰기」에 들어간 후 「・・・」을 눌러 「서식」을 선택해줍니다.
위에서 만들어 놓은 서식 리스트가 뜨고 적용하고 싶은 서식을 선택합니다.
서식을 선택한 후 글쓰기 화면에는 위와 같은 SCRIPT표 두 개가 보이게 됩니다.
글쓴이에게는 위처럼 보이지만 글을 완료 후 방문자가 볼 때에는 아래↓와 같이 광고로 표시되게 됩니다. 글쓴 직후에는 광고가 안 보일 수 있으나 어느 정도 조회수가 나 온 후부터는 보이기 시작합니다 :)
'티스토리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자기 저품질이 찾아온 티스토리 & 고객센터 문의 (2) | 2021.10.23 |
---|---|
우연히 발견한 사소한 티스토리 오류들 (1) | 2021.10.06 |
애드핏 심사 통과했습니다~ (9) | 2021.05.10 |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robots.txt에 의해 차단됨 (2) | 2021.05.03 |
'itemListElement' 입력란이 누락되었습니다. (2) | 2021.05.02 |
댓글